책 『1984』로 보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

2024-01-31

 

미래를 예언한 책이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선뜻 믿기는 어려우시리라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70년도 전에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을 예견한 책이 있습니다. 바로 조지오웰의 『1984』입니다.

 

책 『1984』는 디스토피아 소설로, 1948년에 본 1984년의 모습을 그린 작품입니다. 1948년에 쓴 작품이라고는 믿을 수 없을 만큼 사회구조와 개인의 생활 곳곳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 과학기술의 문명을 세밀하게 묘사합니다.

 

1984년, 세계는 핵전쟁 이후 3개의 대륙으로 나뉘어져 정복 전쟁을 하고 있습니다. 그 중 책의 배경이 되는 오세아니아는 영국의 사회주의 사상 아래 독재정권이 세워지는데 바로 '빅브라더'입니다. '빅브라더'는 개개인이 갖는 모든 감정과 기억을 말살시키고 당에 대한 두려움, 복종, 적에 대한 증오와 혐오만을 갖도록 사람들을 통제합니다. '빅브라더'는 모든 곳에 위치하며 "BIG BROTHER IS WATCHING YOU"라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전달하고 텔레스크린을 통해 사람들의 삶을 24시간 감시하고 탄압합니다.

 

사람들은 지금 세계가 실제 전쟁 중인지, '빅브라더'를 믿을 수 있는지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사실관계가 파악되지 않은 정보를 맹목적으로 수용하고 있습니다. 당은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과거의 기록을 조작하고 창조해 자신들이 항상 옳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있습니다.

 

주인공 윈스턴은 정부의 공무원으로서 과거의 기록물을 당의 입맛에 맞게 조작하는 일을 수행하고 있었지만, 마음속 반발심은 커져가고 있었고 당에 의해 금지된 일기를 쓰며 현 체제를 비판합니다. 다음은 윈스턴이 쓴 일기의 한 구절입니다.

 

'자유는 2 더하기 2가 4라고 자유롭게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믿었던 동료의 배신으로 윈스턴은 감금, 고문을 당하게 됩니다. 정부는 정부의 지시와 정보를 무조건 수용하라며 강요하며 고문을 가하고, 윈스턴은 결국 승복하게 됩니다. 풀려난 윈스턴은 2 더하기 2가 4라는 공식을 미처 쓰지 못하고 결국 자신이 '빅브라더'를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책은 마무리됩니다.

 

조지오웰이 1948년에 본 1984년의 모습, 그리고 1984년에서 40년이 지난 2024년의 모습.

 

책 『1984』 속 정보에 휘둘리는 사람들의 모습은 놀라울 만큼 현재를 보는 것만 같습니다.

혹자는 『1984』의 암울한 내용을 보고 우리 사회는 저 정도는 아니라며 조지오웰의 예견이 틀렸다고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진실이 결핍된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들, 그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용하는 사람들이 뒤섞인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는 소설 속 모습과 별반 다를 게 없어 보입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디지털 시대가 되며 정보가 빠르게 전 세계로 퍼져나갈 수 있는 환경이 되었습니다. 이런 시대에서 정보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안전하게 관람하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요해졌습니다.

 

현재 동북공정, 독도의 소유권 주장 등 많은 과거의 기억들이 조작되고 있습니다. 그들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사람들의 머릿속을 쉽게 통제하고 하물며 마음속까지 '완전히' 변화시킵니다. 관중들은 이러한 정보에 비판의식이 없이 단순하게 통제당하고, 증오와 혐오의 감정으로 서로를 판단하고 깎아내리며 감정이 메마른 사회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사이버렉카'라고 들어보셨나요? 남의 불행이나 사고, 실수, 결점, 잘못 등을 인터넷상에 공론화하고 이슈 거리로 만드는 사람을 말합니다. 사실인지 아닌지는 그들에겐 중요한 요점이 아닙니다. 디지털상에서 조회수, 여론, 관심 등을 손에 얻는 것을 목적으로 남을 헐뜯고 사람들로 하여금 자극적으로 가공한 정보를 나누고 가열되게 합니다.

 

문제는 쓰인 대로, 보이는 대로, 들리는 대로 믿는 우리들입니다. 비판의식 없는 맹목적인 믿음은 우리를 우매한 관중으로 만들어놓았습니다. 어쩌면 2024년 현재도 우리는 '빅브라더'의 통제안에 살고 있는지 모릅니다.

 

정보를 단순히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가 어디서 왔는지,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졌는지를 비판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정보를 접할 때 그 이면을 한 번 더 생각해 보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습니다.

 

 

정보를 소비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직접 정보를 생산하는 경험도 중요합니다. 디지털 환경이 우리에게 주는 이점도 많습니다. 우리 각자는 정보의 소비자이자 생산자이기에 SNS 등에 자신을 표현한 콘텐츠를 올려 정보를 생산하는 경험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기를 수 있습니다. 자신이 생산한 정보의 파급력 또한 직접 경험해보며 정보의 무게감과 중요성을 알아가는 과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환경에서의 적절한 행동을 이해하고 배울 수 있습니다. 온라인상에서의 사생활 보호, 저작권, 다른 사람의 의견 존중 등을 포함한 에티켓을 준수하며 디지털 세상을 더욱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직도 우리 안에 존재하는 '빅브라더'에 맞서 싸워야 합니다. 개인과 사회의 안전을 위해, 발전을 위해 능동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발휘하며 '빅브라더'의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해야 할 것입니다.